1 minute read

  • Django-REST-Framework

    React-Django 를 구글링 해보면 대부분 DRF를 통해 구현한 프로젝트들이 많았다. 그리고 Django 에서 어떻게 JSON 을 이용하여 통신하여야 할 지 잘 모르는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DRF를 알아보았는데 기존의 Django 에서 대부분 Python 코드들이 생략되고, Serializer와 내장 Class 를 이용해서 쉽게 처리되는 부분들이 많아서 처음부터 DRF 를 이용한 프로젝트는 입문하기 적절하지 않겠다 라고 판단되었다. 그래서 JSON 을 이용한 HTTP 통신을 알아보았고 DRF를 제외하고 Django 로 직접 파싱을 하며 기본적인 게시판 부터 구현중이다. Django 만으로 프로젝트가 어느정도 종료되면 리팩토링으로 DRF를 사용해 볼 계획이다. 아니면 JWT같은거 쓸 때 DRF를 사용할 수도 있다.

  • Django

    JS에 익숙해진 나에게 Python의 class는 조금 생소했다. 개념부터 조금 달랐고 가장 와닿았던 부분은 객체에 관한 부분이다. JS는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에 객체 마저도 Object 자료형이다. 그리고 class나 객체 생성자 함수를 통한 산출물들도 전부 object 자료형 이라 별 다른 조작 없이 object 자료형을 다룰 수 있었다. object 에서도 .(점), [] (대괄호)를 통해 2가지로 키-값 조회가 가능하다. 하지만 Python 은 클래스 기반 언어에 JS 의 Object 자료형은 Dicionary 자료형이였고 Python에서의 dictionary 는 객체와 다른 개념이다. dictionary 는 키-값 조회도 반드시 [] (대괄호)를 통해 이루어지고 class의 산출물은 객체이며 .(점)을 통해 property 조회가 가능하다. 이런 부분들이 나에겐 조금 생소하기도 해서 자료형을 다루는데 조금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코드를 구현하면서 꽤나 재미있었다. url로 request 의 url에 따라 다른 동작을 취하고 view에서 ORM 을 이용해 DB를 다루며 request, response를 하는 작업은 프론트만 해왔던 나에게 약점이면서도 가장 궁금했던 부분을 해결하게 해주었다. 그리고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뜻 깊은 부분은 사전 조사를 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보면서 흐름을 익히고 계획하며 구현하는 작업은 프로그래밍의 핵심인 구현에 맞춘 가장 좋은 공부법을 직접 행하며 산출물들을 만들고 있기에 제일 만족스러운 부분이다.

  • 앞으로의 계획

    기존 코드에서 HTTP method 에 따른 비즈니스 로직 분기

    JWT와 쿠키를 이용한 계정 관리, API에 권한 부여, 프로필 관리, 위치 기반 좋아요/싫어요 시스템, 메세지, 채팅 등을 계속된 정보 수집을 통해 익히고 구현하며 개발자로써의 성장, 고찰, 자아 성장 등을 도모할 것이다.